Java192 개념정리 - REST API REST API란? REST 방식으로 제공되는 외부 연결 URL을 REST API라고 함. REST방식은 요청된 결과에 따라서 플랫폼에 상관없이 UI구성을 할 수 있도록 Data를 전달해준다. 사용자 편의성/확장성이 커지고 트래픽 자원을 아낄 수 있다. Spring에서는 @ResponseBody 또는 @RestController로 지원한다. Restful - 전송방식 GET -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POST -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PUT -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 PATCH - 데이터의 부분값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 DELETE -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 2023. 10. 24. 개념정리 - Spring 스프링 프레임 워크의 특징이라면 1.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2. AOP지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의존성 주입 스프링이 내부에 있는 객체(Bean)들 간의 관계를 관리할 때 사용함. 스프링은 의존성 주입을 프레임워크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자신이 만드는 객체나 클래스 외에는 신경쓰지 않고 코드를 만들고 자신의 코드에 필요한 객체는 스프링을 통해서 주입받는 구조로 작성됨. AOP 로그나, 보안같은 횡단 관심사를 분리해서 핵심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해서 코드를 개발하게 한다. *(핵심 비즈니스는 아니지만 반드시 처리가 필요한 부분) (AOP 사용시 메소드 호출 전 후 적용이 가능함) 2023. 10. 24. Stream<String>에서 String으로 변환하기 중복된 문자 제거 문제 풀이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8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Q)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에서 중복된 문자를 제거하고 하나의 문자만 남긴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regex.Pattern; import java.util.stream.*; class Solution { public .. 2023. 10. 4. 실무에서 모니터링 사용하기 모니터링 관찰 시 전체-> 점점 좁게 모니터링 3단계 1.애플리케이션 추적(하나만 쓴다면 핀포인트를....) 각각의 HTTP 요청을 추적. 장애 생겼을 때 찾기 쉬움.... 요청 쿼리까지 다 나옴! https://github.com/pinpoint-apm/pinpoint GitHub - pinpoint-apm/pinpoint: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for large-scale distributed systems.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for large-scale distributed systems. - GitHub - pinpoint-apm/pinpoint: APM, (Applic.. 2023. 9. 27. 비즈니스 메트릭(모니터링) 주문수, 취소수 등 비즈니스에 특화된 부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메트릭을 이용해보자.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해서 메트릭을 직접 등록할 수 있다. * 마이크로미터 핵심기능 : Counter, Gauge, Timer, Tag 참고: Tag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나누어서 확인할 수 있다.(ex. 성별, 주문상태 등등...) @Count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쉽게 등록할 수 있다.(이미 마이크로미터에서 구성요소를 등록해두었음) @Counted("my.order") @Override public void cancel() { log.info("취소"); stock.incrementAndGet(); } @Counted("메트릭이름") tag 에 method 를 기준으로 분류해서 적용한다 이때, config.. 2023. 9. 27.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 : 모니터링 도구 메트릭은 실시간 서버의 대략적인 값과 추세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문제파악! 프로메테우스 : 메트릭을 수집하고 보관하는 DB역할 그라파나 : 메트릭을 보기 편하게 만들어주는 대시보드 프로테메우스 실행파일 실행 후 http://localhost:9090/ 접속 레이블 일치 연산자 = 제공된 문자열과 정확히 동일한 레이블 선택 != 제공된 문자열과 같지 않은 레이블 선택 =~ 제공된 문자열과 정규식 일치하는 레이블 선택 !~ 제공된 문자열과 정규식 일치하지 않는 레이블 선택 프로메테우스 범위벡터 활용 프로메테우스의 메트릭은 게이지/카운터로 나뉜다. increase() 를 사용하면 카운터 메트릭을 게이지처럼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지정한 시간 단위별로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에 [시간] 을 사용해서 .. 2023. 9. 24.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2 다음